공부생활

Apple Search Ads (ASA) 매체 이해하기 | 감자노움의 애플 SA 광고

감자노움 2025. 6. 26. 09:13

Apple Search Ads 애플서치애드 매체 이해하기 ❘ 감자노움의 애플 SA 광고

이번에는 요즘 제가 관심있게 접근하고 있는 Apple Search Ads (a.k.a ASA)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려고 합니다!

 

Apple Search Ads 설명

애플서치애드는 iOS 광고에서 많이 언급됩니다.

당연히, 앱 스토어 기반의 광고 매체이기 때문이죠!

 

iOS 앱 마케팅을 할 때 자주 언급이 되지만, 막상 실무에서는 어느 지면에 노출되는지, 광고 상품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모르거나 헷갈리는 경우가 있는데요. 

이 점을 중점으로 설명 들어가 볼게요~

 

✅ Apple Search Ads란?

Apple Search Ads는 App Store(앱스토어) 내에서 검색 결과와 추천 영역에 앱 설치 광고를 노출할 수 있는 매체입니다
즉, 아이폰 유저들이 앱스토어에서 어떤 앱을 검색하거나 탐색할 때 우리 앱을 가장 먼저 보여줄 수 있게 해주는 광고이죠!

 

Apple Search Ads 광고를 하면, 어디서 노출이 될까?

Apple Search Ads는 크게 아래 4개 지면에 광고를 노출할 수 있어요.

 

Apple Search Ads 애플서치애드 매체 이해하기 ❘ 감자노움의 애플 SA 광고

 

🔍 실무 팁:
Search Results는 CPA 관점에서, Today Tab은 인지도 향상(BI) 관점에서 활용도가 높다는 점!

 

🎯 Apple Search Ads 캠페인은 어떻게 구성할까?

Apple Search Ads 캠페인을 어떻게 구성하느냐에 따라 성과, 보고서 가독성, 확장성이 크게 달라질 수 있어요!
특히 ‘검색 결과(Search Results)’ 지면을 집행할 때는 전략별로 캠페인을 구분해두는 게 좋습니다.


✅ 브랜드 캠페인

내 앱 이름이나 회사 이름을 직접 검색한 유저를 타겟팅하는 캠페인입니다.
이 영역은 브랜드 키워드를 선점하여 우리 앱을 1순위로 노출시키는 게 핵심입니다.

  • 키워드 예시: OOO앱, 회사명, 서비스명
  • 매칭 방식: 정확히 일치하는 키워드만 타겟하는 ‘일치 검색’으로 설정
  • 추천 이유: 브랜드 키워드 방어 및 ROAS 극대화에 효과적

⚠️ 경쟁사가 우리 브랜드 키워드에 광고를 노출할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별도 캠페인으로 운영하는 게 좋습니다.


✅ 카테고리 캠페인

앱의 기능이나 사용 목적에 관심 있는 유저를 노리는 캠페인입니다.
즉, 우리 앱을 모르는 유저들이 일반적인 키워드로 탐색할 때를 노립니다.

  • 키워드 예시: 운동 앱, 다이어리, 사진 보정, AI 채팅 등
  • 매칭 방식: 일치 검색 (설명이 직접 들어맞는 키워드만 타겟팅)
  • 추천 이유: 신규 유저 유입에 효과적, 앱 기능 중심의 커버리지 확대

✅ 경쟁사 캠페인

경쟁 앱을 검색한 유저에게 내 앱을 노출하는 전략입니다.
이때는 경쟁 앱명이나 서비스명을 키워드로 활용합니다.

  • 키워드 예시: 플로, 오늘의집, 스노우 등
  • 매칭 방식: 일치 검색
  • 추천 이유: 경쟁 앱에서 전환 유도, 시장 점유율 방어

✅ 탐색 캠페인

Search Match 기능을 활용해 Apple이 자동으로 키워드를 매칭하는 캠페인입니다.
광범위한 타겟을 자동 탐색하여 새로운 키워드를 발견하거나 유입을 넓힐 때 유용합니다.

이 유형은 보통 2개 광고 그룹으로 나누어 운영합니다:

  • 확장 검색 광고 그룹
    • 브랜드/카테고리/경쟁자 키워드를 모두 포함
    • Search Match는 끄고 운영 (검색 범위 명확하게 유지)
  • Search Match 광고 그룹
    • 키워드 없이 Search Match만 켜서 운영
    • Apple이 자동으로 관련성 높은 키워드에 노출

🔍 이 두 그룹을 분리 운영하면, 자동 탐색 키워드와 수동 키워드의 성과를 따로 비교할 수 있어 캠페인 최적화에 용이합니다.


🤔 실무 활용 팁

  • 4가지 캠페인을 광고 전략(브랜드, 기능, 경쟁, 탐색) 단위로 구분하면
    예산 배분과 성과 분석이 훨씬 명확해집니다.
  • 신규 시장 확장 시에는 국가별 또는 지역별로 캠페인을 세분화해도 좋습니다.
  • 앱 설치 외 목적(브랜딩, 앱 재방문 유도 등)이 있다면 Today Tab 등 다른 지면과도 병행 운용 추천

 

📊 과금 방식은?

Apple Search Ads는 CPT(Cost Per Tap) 방식으로 과금됩니다.
광고가 노출되는 것만으로는 비용이 발생하지 않고, 유저가 광고를 탭(클릭)해야 과금이 발생합니다.

탭 이후 앱 설치는 과금과 별개이며, 설치율에 따라 향후 입찰 효율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마케터 실무 관점에서의 활용 포인트

  • 브랜드 키워드 방어: 내 앱 브랜드 키워드에도 경쟁사가 광고를 집행할 수 있으므로 선점 필요
  • 경쟁 앱 키워드 공략: 비슷한 서비스의 키워드를 활용해 내 앱을 노출 가능
  • 신규 앱 런칭 시 효율적: 초반 유입 확보 및 앱스토어 최적화(ASO)와 시너지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