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서치애즈란?

애플 앱스토어 지면에 노출되는 모든 광고를 말해요.

 

🤔 근데 왜 이름이 애플서치애드(Apple Search Ads)인가요?

* 출시 당시, 검색결과에만 노출되어 Apple Search Ads (aka. ASA) 라는 이름이 붙었어요 !

 


ASA (Apple Search Ads)의 상품은 무엇이 있을까요?

 

 

 

1️⃣ 검색 결과

▶️  검색 결과 상품을 가장 많이 사용

▶️  사용자가 검색할 때 관련 검색 결과 상단에 광고를 표시
▶️  사용자의 의사를 직접적으로 알려주는 검색어를 기반으로 앱과 사용자를 매칭

 

 

 

 

 

 

2️⃣ 검색 탭

▶️  검색 탭에 광고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검색을 '시작'할 때 사용자에게 표시

▶️  추천 목록 상단, 눈에 띄는 곳에 광고가 표시

 

 

 

 

 

 

 

 

3️⃣ 제품 페이지 탐색 시 

▶️ App Store 전체에 걸쳐 관련 제품 페이지 하단까지 스크롤한 관심 있는 사용자에게 광고가 게재

 

 

 

 

 

 

 

 

4️⃣ 투데이 탭

▶️  App Store의 첫 화면에 임팩트있는 Creative Assets를 표시하여 시작부터 앱을 더 많이 노출

▶️  사용자가 App Store에 처음 방문했을 때 눈에 띄는 위치에 광고가 표시

 

 

 

 

 


 

ASA의 계정을 이해해봅시다

ASA를 하기에 앞서, 두 가지의 계정이 존재합니다.

 

1️⃣ 애플 서치 애즈 계정

  • ASA에서 광고를 집행하기 위한 계정
  • 마케터가 관리
  • Apple ID를 사용해 계정 생성 및 로그인

2️⃣ 앱 스토어 커넥트 계정

  • 앱스토어 관리를 위한 계정
  • 개발자가 관리
  • Apple ID를 사용해 계정 생성 및 로그인

ASA를 하려면, ASA 계정 ↔ 커넥트 계정 연결이 필요해요

ASA 계정에 캠페인 그룹을 생성, 해당 그룹에 클라이언트 커넥트 계정을 연동해요

 

🤔 만약, 대행사 ASA 계정이 아닌, 광고주 ASA 계정 ↔ 커넥트 계정이 연결되어 있다면?

광고주 ASA 계정이 있고, 커넥트 계정과 연동되어 있다면, 해당 ASA 계정에 팀민트 ID를 추가하는 방법도 존재해요.
* 단, 이 경우 광고주 ASA 계정에 등록된 <광고주 카드>로 광고비가 결제


 

이제, ASA 세팅을 해볼까요?

 

ASA의 차이점과 세팅 단계

  • 타 매체와 동일하게 [캠페인 > 세트 > 소재]의 구조를 따르되, 소재가  <키워드>라는 점이 차이점이에요 !
  • 실제 세팅할 부분은 [캠페인 ~ 키워드]까지 인거죠 !

왜 그럴까요? 바로, 계정 생성 및 연동 작업에서 캠페인 그룹까진 설정을 했기 때문이죠 ~

 

✅ 캠페인

앱과 노출 지면, 국가, 일 예산, 기간 등을 입력해요 !

 

✅ 광고 그룹

키워드 구분  / 검색 설정 방법 / Search Match 사용 여부에 따라 그룹을 생성해요

그룹 성격에 맞추어 키워드를 관리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

* 키워드가 별로 없다면 한 그룹에서 관리할 수도 있어요. 단, 성과 및 입찰가 관리에 손이 많이 간답니다 ㅠ

<확장 검색>을 사용할 경우

해당 키워드 뿐만 아니라 단수형/복수형/맞춤범 오류/동의어/유의어 등에도 입찰할 수 있어요.
* 꼭 일치해야 하는 키워드에만 노출되어야 하는 브랜드 / 경쟁사 키워드 그룹에선 잘 사용하지 않아요 ! 
  → 이럴 땐, 일치 검색을 사용 !

 

Search Match

  • 우리 앱 기존 사용자 또는 유사 앱 사용자가 검색하는 키워드에 자동 입찰하는 기능이에요
    • 키워드가 있는 그룹에서 켤 수도 있지만, 키워드 없는 그룹에서도 활성화가 가능하죠
  • 추후 노출 키워드 효율 확인이 가능해 '새로운 키워드 발굴’ 시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어요
    • Search Match 에서 고효율 키워드 발견 시 해당 그룹으로 옮긴 후, Search Match 그룹에서 제외 처리

 

🤔 많이 사용하는 키워드 그룹의 개수는?

<4개> 이론상 총 그룹 수는 12개이지만, 실제로 많이 사용하는 그룹 수는 4개 정도.

 


ASA 운영 꿀팁 !

입찰가는 조금 높게 설정하기

  • ASA는 CPT Bidding 방식으로 광고비가 과금되는데요.
    • CPT(Cost Per Tab) Bidding 이란?
      • 탭 = 클릭을 의미하며, 특정 키워드에 가장 높은 입찰가를 입력한 광고가 노출되나,
        실제 비용은 해당 키워드에 입찰한 광고 중 두 번째 높은 입찰가로 과금되는 것을 말해요.
ASA 입찰가 원칙
💡 첫 번째 입찰가 업체 → 노출 낙찰

💡 두 번째 입찰가 업체 → 해당 입찰가로 과금
  • 반드시 입력한 비딩가 대로 광고비가 청구되는 것은 아니니 노출 우위를 점할 수 있게 조금 높게 설정할 것을 권장해요
  • 예를 들어, 광고 A의 비딩가가 10 USD 일 때 광고가 노출되었다면, 10 USD가 청구되는 것이 아닌
    두 번째로 높은 입찰가였던 광고 B의 입찰가 6 USD가 청구되는 방식이죠

추천 설정 사항

예상 CPA(CPT x 전환율)가 높은 키워드의 경우, 입찰에 참여하지 않아 CPA 단가 관리에 용이해요.

1️⃣ 비용 통제가 필요할 땐, CPA 상한선 설정

2️⃣ CPT 높게 설정했음에도 CPA가 걱정될 땐, CPA 목표 설정


맞춤형 제품페이지

맞춤형 제품 페이지를 사용하면 키워드에 맞춰 랜딩 교체가 가능하다는 사실 !

* 단, 커넥트 계정에 맞춤형 제품 페이지를 '미리 설정해 둔 경우'만 ASA 계정에서 불러오기가 가능해요.


세팅 꿀팁 !

💡Campaign

1️⃣ 앱 선택

2️⃣ 광고를 실행할 위치 선택 > 검색 결과
* 해당 선택에 따라 광고 상품이 달라짐 : 투데이 탭 / 검색 탭 / 제품 페이지

3️⃣ 캠페인 설정 > 일일예산 > 일예산 달러로 환산하여 입력
* KRW 일예산 / 환율기준 , 이때 환율은 광고주와 협의된 기준에 따름 

 

💡Ad set

1️⃣ 기본 최대 CPT 입찰가

  • 적정 단가 입력 ( 기존 단가 히스토리가 있을 경우 OR 전략상 단가 상/하향이 필요한 경우 ) 
  • 조정하여 입력 ( 기존 단가 히스토리가 없을 경우 OR 시스템 추천단가 입력 후 운영하며 최적화 )

2️⃣ Search Match

  • 해당 광고그룹 내 관련된 검색어까지 자동확장하는 경우 > ON
  • 특정 키워드만 타겟팅하고자 하는 경우 > OFF

3️⃣ 타겟 오디언스

  • 권장 : 적합한 모든 사용자에게 다가가기
  • Mix 확인 후 필요에 따라 기기 / 고객유형 / 인구통계 옵션 선택
  • 광고 일정 옵션 = 요일별 / 시간대별 타겟팅 가능

4️⃣ Keyword

  • 키워드 추가
  • 1 ) 일치 키워드 : 대괄호를 붙여서 입력 (ex. [엔카])
  • 2 ) 확장 키워드 : 괄호없이 입ㄹ겨 (ex. 엔카)
728x90
반응형
감자노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