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서치애즈란?
애플 앱스토어 지면에 노출되는 모든 광고를 말해요.
🤔 근데 왜 이름이 애플서치애드(Apple Search Ads)인가요?
* 출시 당시, 검색결과에만 노출되어 Apple Search Ads (aka. ASA) 라는 이름이 붙었어요 !
ASA (Apple Search Ads)의 상품은 무엇이 있을까요?
1️⃣ 검색 결과
▶️ 검색 결과 상품을 가장 많이 사용
▶️ 사용자가 검색할 때 관련 검색 결과 상단에 광고를 표시
▶️ 사용자의 의사를 직접적으로 알려주는 검색어를 기반으로 앱과 사용자를 매칭
2️⃣ 검색 탭
▶️ 검색 탭에 광고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검색을 '시작'할 때 사용자에게 표시
▶️ 추천 목록 상단, 눈에 띄는 곳에 광고가 표시
3️⃣ 제품 페이지 탐색 시
▶️ App Store 전체에 걸쳐 관련 제품 페이지 하단까지 스크롤한 관심 있는 사용자에게 광고가 게재
4️⃣ 투데이 탭
▶️ App Store의 첫 화면에 임팩트있는 Creative Assets를 표시하여 시작부터 앱을 더 많이 노출
▶️ 사용자가 App Store에 처음 방문했을 때 눈에 띄는 위치에 광고가 표시
ASA의 계정을 이해해봅시다
ASA를 하기에 앞서, 두 가지의 계정이 존재합니다.
1️⃣ 애플 서치 애즈 계정
- ASA에서 광고를 집행하기 위한 계정
- 마케터가 관리
- Apple ID를 사용해 계정 생성 및 로그인
2️⃣ 앱 스토어 커넥트 계정
- 앱스토어 관리를 위한 계정
- 개발자가 관리
- Apple ID를 사용해 계정 생성 및 로그인
ASA를 하려면, ASA 계정 ↔ 커넥트 계정 연결이 필요해요
ASA 계정에 캠페인 그룹을 생성, 해당 그룹에 클라이언트 커넥트 계정을 연동해요
🤔 만약, 대행사 ASA 계정이 아닌, 광고주 ASA 계정 ↔ 커넥트 계정이 연결되어 있다면?
광고주 ASA 계정이 있고, 커넥트 계정과 연동되어 있다면, 해당 ASA 계정에 팀민트 ID를 추가하는 방법도 존재해요.
* 단, 이 경우 광고주 ASA 계정에 등록된 <광고주 카드>로 광고비가 결제
이제, ASA 세팅을 해볼까요?
ASA의 차이점과 세팅 단계
- 타 매체와 동일하게 [캠페인 > 세트 > 소재]의 구조를 따르되, 소재가 <키워드>라는 점이 차이점이에요 !
- 실제 세팅할 부분은 [캠페인 ~ 키워드]까지 인거죠 !
왜 그럴까요? 바로, 계정 생성 및 연동 작업에서 캠페인 그룹까진 설정을 했기 때문이죠 ~
✅ 캠페인
앱과 노출 지면, 국가, 일 예산, 기간 등을 입력해요 !
✅ 광고 그룹
키워드 구분 / 검색 설정 방법 / Search Match 사용 여부에 따라 그룹을 생성해요
그룹 성격에 맞추어 키워드를 관리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
* 키워드가 별로 없다면 한 그룹에서 관리할 수도 있어요. 단, 성과 및 입찰가 관리에 손이 많이 간답니다 ㅠ
<확장 검색>을 사용할 경우
해당 키워드 뿐만 아니라 단수형/복수형/맞춤범 오류/동의어/유의어 등에도 입찰할 수 있어요.
* 꼭 일치해야 하는 키워드에만 노출되어야 하는 브랜드 / 경쟁사 키워드 그룹에선 잘 사용하지 않아요 !
→ 이럴 땐, 일치 검색을 사용 !
Search Match
- 우리 앱 기존 사용자 또는 유사 앱 사용자가 검색하는 키워드에 자동 입찰하는 기능이에요
- 키워드가 있는 그룹에서 켤 수도 있지만, 키워드 없는 그룹에서도 활성화가 가능하죠
- 추후 노출 키워드 효율 확인이 가능해 '새로운 키워드 발굴’ 시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어요
- Search Match 에서 고효율 키워드 발견 시 해당 그룹으로 옮긴 후, Search Match 그룹에서 제외 처리
🤔 많이 사용하는 키워드 그룹의 개수는?
<4개> 이론상 총 그룹 수는 12개이지만, 실제로 많이 사용하는 그룹 수는 4개 정도.
ASA 운영 꿀팁 !
✅ 입찰가는 조금 높게 설정하기
- ASA는 CPT Bidding 방식으로 광고비가 과금되는데요.
- CPT(Cost Per Tab) Bidding 이란?
- 탭 = 클릭을 의미하며, 특정 키워드에 가장 높은 입찰가를 입력한 광고가 노출되나,
실제 비용은 해당 키워드에 입찰한 광고 중 두 번째 높은 입찰가로 과금되는 것을 말해요.
- 탭 = 클릭을 의미하며, 특정 키워드에 가장 높은 입찰가를 입력한 광고가 노출되나,
- CPT(Cost Per Tab) Bidding 이란?
ASA 입찰가 원칙
💡 첫 번째 입찰가 업체 → 노출 낙찰
💡 두 번째 입찰가 업체 → 해당 입찰가로 과금
- 반드시 입력한 비딩가 대로 광고비가 청구되는 것은 아니니 노출 우위를 점할 수 있게 조금 높게 설정할 것을 권장해요
- 예를 들어, 광고 A의 비딩가가 10 USD 일 때 광고가 노출되었다면, 10 USD가 청구되는 것이 아닌
두 번째로 높은 입찰가였던 광고 B의 입찰가 6 USD가 청구되는 방식이죠
추천 설정 사항
예상 CPA(CPT x 전환율)가 높은 키워드의 경우, 입찰에 참여하지 않아 CPA 단가 관리에 용이해요.
1️⃣ 비용 통제가 필요할 땐, CPA 상한선 설정
2️⃣ CPT 높게 설정했음에도 CPA가 걱정될 땐, CPA 목표 설정
✅맞춤형 제품페이지
맞춤형 제품 페이지를 사용하면 키워드에 맞춰 랜딩 교체가 가능하다는 사실 !
* 단, 커넥트 계정에 맞춤형 제품 페이지를 '미리 설정해 둔 경우'만 ASA 계정에서 불러오기가 가능해요.
✅ 세팅 꿀팁 !
💡Campaign
1️⃣ 앱 선택
2️⃣ 광고를 실행할 위치 선택 > 검색 결과
* 해당 선택에 따라 광고 상품이 달라짐 : 투데이 탭 / 검색 탭 / 제품 페이지
3️⃣ 캠페인 설정 > 일일예산 > 일예산 달러로 환산하여 입력
* KRW 일예산 / 환율기준 , 이때 환율은 광고주와 협의된 기준에 따름
💡Ad set
1️⃣ 기본 최대 CPT 입찰가
- 적정 단가 입력 ( 기존 단가 히스토리가 있을 경우 OR 전략상 단가 상/하향이 필요한 경우 )
- 조정하여 입력 ( 기존 단가 히스토리가 없을 경우 OR 시스템 추천단가 입력 후 운영하며 최적화 )
2️⃣ Search Match
- 해당 광고그룹 내 관련된 검색어까지 자동확장하는 경우 > ON
- 특정 키워드만 타겟팅하고자 하는 경우 > OFF
3️⃣ 타겟 오디언스
- 권장 : 적합한 모든 사용자에게 다가가기
- Mix 확인 후 필요에 따라 기기 / 고객유형 / 인구통계 옵션 선택
- 광고 일정 옵션 = 요일별 / 시간대별 타겟팅 가능
4️⃣ Keyword
- 키워드 추가
- 1 ) 일치 키워드 : 대괄호를 붙여서 입력 (ex. [엔카])
- 2 ) 확장 키워드 : 괄호없이 입ㄹ겨 (ex. 엔카)
'공부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글애즈로 (tROAS)앱 구매 유저를 늘리자 ! < 전환 최대화 캠페인 세팅하기 > | 감자노움의 구글광고 (1) | 2024.09.06 |
---|---|
구글애즈로 앱 설치 유저를 늘리자 ! < ACi 캠페인 세팅하기 > | 감자노움의 구글광고 (0) | 2024.09.05 |
iOS는 알고, SKAN은 듣보라면? <SKAdnetwork> | 감자노움의 iOS 정복 (1) | 2024.09.04 |
리타겟팅이 처음이세요? < ACe 액션 캠페인 세팅하기> | 감자노움의 구글광고 (0) | 2024.09.03 |
메타(Meta)와 초면이세요? < 메타 앱 캠페인 총 정리 > | 감자노움의 메타광고 (0) | 2024.0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