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포먼스 마케팅을 진행하다 보면 "DSP, DMP, SSP"라는 용어를 자주 접하게 되는데요

하지만 초보자들에게는 용어 자체가 낯설게 느껴질 수 있어요ㅜ

이번 글에서는 DSP, DMP, SSP의 차이점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해보겠습니다~


🏛 광고 거래의 핵심 구조: DSP, DMP, SSP란?

광고는 마치 자동차 경매장과 비슷합니다. 판매자는 차를 팔고 싶고, 구매자는 좋은 차를 사고 싶어 하죠.

여기에 중개 플랫폼이 개입하여 원활한 거래를 도와요!

 

이를 광고 환경에 적용하면 다음과 같이 볼 수 있습니다.

DSP(Demand-Side Platform) – 광고주(구매자)를 위한 플랫폼

DMP(Data Management Platform) – 데이터를 모으고 가공하는 플랫폼

SSP(Supply-Side Platform) – 퍼블리셔(판매자)를 위한 플랫폼

 


1️⃣ DSP (Demand-Side Platform) – 광고주를 위한 플랫폼

"광고주가 원하는 타겟에게 광고를 노출시키는 자동화 시스템"

📌 예시: Mobon(모비온), Criteo(크리테오) 등

🔹 DSP의 역할

  • 광고주(광고 대행사 포함)가 광고 입찰을 자동화하여 효율적으로 광고를 집행
  • 다양한 매체(웹사이트, 앱, 영상 플랫폼 등)에 광고를 송출
  • 특정 타겟팅(연령, 성별, 관심사 등)을 설정해 최적의 광고 집행 가능
  • RTB(실시간 경매) 방식으로 광고 공간을 구매하여 비용 최적화

💡 DSP 쉽게 이해하기

"DSP는 광고 구매자의 스마트 쇼핑 도구!"

👉 예를 들어, DSP는 광고주가 '구매할 수 있는 광고 공간'을 자동으로 찾아 최적의 가격에 입찰할 수 있도록 하죠


2️⃣ DMP (Data Management Platform) – 데이터 분석 플랫폼

"사용자의 데이터를 수집, 분석, 활용하는 데이터 허브"

📌 예시: AiCookie(아이쿠키), DaVinci(다빈치), Adobe Audience Manager, Oracle BlueKai

🔹 DMP의 역할

  • 다양한 출처(웹사이트, CRM, SNS, 광고 데이터 등)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수집
  •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하고 세그먼트(타겟 그룹)로 분류
  • DSP 또는 광고 플랫폼과 연동하여 타겟팅 광고의 정확도를 높임

💡 DMP 쉽게 이해하기

"DMP는 광고주가 타겟 고객을 더 정교하게 찾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데이터 분석가!"

👉 예를 들어, DMP는 "최근 신발을 검색한 30대 남성" 같은 특정한 고객층을 찾아내어

광고주가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을 펼칠 수 있도록 해요.


3️⃣ SSP (Supply-Side Platform) – 퍼블리셔를 위한 플랫폼

"퍼블리셔가 광고 공간을 판매하고 최대 수익을 올릴 수 있도록 도와주는 시스템"

📌 예시: Google Ad Manager, 커머스 그리드 등

🔹 SSP의 역할

  • 퍼블리셔(언론사, 블로그, 앱 개발자 등)가 광고 공간을 판매할 수 있도록 지원
  • DSP와 연결되어 광고주에게 광고 인벤토리를 제공
  • 실시간 경매(RTB) 방식으로 광고 공간을 최고 입찰가에 판매
  • 광고 게재율 및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최적화

💡 SSP 쉽게 이해하기

"SSP는 퍼블리셔가 광고 공간을 최고가에 팔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경매 관리자!"

👉 예를 들어, SSP는 "이 웹사이트의 배너 광고 공간을 가장 높은 가격을 제시한 광고주에게 판매"하는 역할을 해요!


🔥 DSP, DMP, SSP의 차이를 한눈에 정리!

DSP 광고 구매 광고주, 대행사 Mobon, Criteo, Facebook Ads Manager
DMP 데이터 분석 광고주, 데이터 제공사 AiCookie, DaVinci, Adobe Audience Manager, Oracle BlueKai
SSP 광고 판매 퍼블리셔, 미디어사 Google Ad Manager, 커머스 그리드

 

728x90
반응형
감자노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