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ple Seach Ads (a.k.a ASA)를 아시나요? (상품 소개 링크)
iOS 앱을 홍보할 때, 필수적인 검색광고인 ASA
검색광고에서 유용한 SoV(노출점유율)과 ASA 대시보드 용어 등을 같이 알아봅시다!
SoV(Share of Volume) 확인하는 법
* 사용자화 보고서에서 지표에 '노출수 점유율' 을 선택하여 Raw를 뽑으면 됨
다운받은 Raw를 열면 키워드별 노출수 점유율 확인 가능
Apple Search Ads 에서 보여지는 지표들의 의미
✅ CPT = Cost per Tap
탭 당 비용을 의미합니다. 즉, 사용자가 광고를 보고 클릭(탭)할 때마다 발생하는 평균 비용을 말하는 것이죠!
Google Ads의 CPC(클릭당 비용)랑 비슷한 개념인데, Apple Search Ads에서는 클릭 대신 *탭(Tap)이라는 용어를 쓴답니다
✅ TTR = Tap Through Rate
탭률을 의미합니다
TTR의 계산식은 (탭 수 / 노출 수) × 100 이며, 광고가 검색 결과에 노출된 횟수 중에서 실제로 사용자가 광고를 탭한 비율을 뜻해요
Google Ads에서 CTR(클릭률)과 같은 개념이라는 점!
✅ CR = Conversion Rate
CR은 전환율을 의미합니다.
CR의 계산식은 (전환 수 / 탭 수) × 100 이며, 광고를 탭한 사용자 중 앱을 다운로드(설치)한 비율을 뜻해요
Apple Search Ads에서 CR은 광고 효율을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로,
탭 이후에 얼마나 많은 사용자가 앱을 설치했는지를 확인하는 데 활용된답니다
🤔여기서 잠깐! CR(합계)와 CR(탭스루)의 차이는 무엇일까요?
CR(합계)는 (탭 수 / 설치 수) 이며, CR(탭스루)는 (탭수 / 탭 발생 설치 수) 를 의미합니다.
그래서,
▶️ 키워드의 입찰가를 형성하며 SoV를 관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우리 서비스의 SoV가 높다는 것은 노출점유율이 높은 것을 뜻해요
즉, 해당 키워드를 검색하면 우리 앱이 제일 상단에, 제일 자주 노출된다는 뜻이겠죠!
이틀 전에는 우리 앱의 노출점유율이 높았는데, 어제는 노출점유율이 낮았다면?
우리가 설정한 키워드 입찰가보다 경쟁사의 입찰가가 높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입찰가를 상향하여 노출점유율을 방어하거나, 설정한 기존 입찰가가 이미 높은 수준이라면
우선 기존 입찰가로 유지하고, 상황을 지켜보는 편도 좋아요
단, 입찰가 조정은 20% 이하로 하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머신러닝의 로직 상 20% 이상의 조정은 기존 머신이 쌓은 데이터와
다른 데이터 값이 들어오면서 머신이 초기화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죠!
'공부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DSP, DMP, SSP 의 차이점은 무엇일까? (0) | 2025.03.10 |
---|---|
메타(Meta) Thruplay 캠페인을 아세요..? | 감자노움의 메타광고 (1) | 2025.02.22 |
[데벨챌/4기] ‘그로스 해킹’ 3주차 리뷰 | 지표, OMTM, A/B 테스트, 통계학 (2) | 2024.12.08 |
[데벨챌/4기] ‘그로스 해킹’ 2주차 리뷰 | AARRR 활성화부터 추천까지 (3) | 2024.11.17 |
[데벨챌/4기] 1주차 리뷰 ‘그로스 해킹 | 양승화‘ 1~3장까지 (3) | 2024.1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