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앱 캠페인의 기초 개념
- 사용자들에게 구글 광고를 통해 앱을 접하게 만들고,
광고 클릭 이후 설치 및 액션을 유도하는 것을 돕는 캠페인이야 - 구글 앱 캠페인 = 구글 네트워크의 통합본
- 앱 캠페인의 특징은 한 캠페인에서 구글의 모든 네트워크 활용이 가능해
- 여기서 모든 네트워크란 [ 검색 / 디스플레이 / 동영상 ] 네트워크를 뜻해
구글 네트워크 알아보기
1️⃣ 검색 네트워크
- 구글 플레이 스토어 ) 검색 결과나 추천 앱 지면에 광고 라벨과 함께 노출
- 구글 웹사이트 ) 검색 결과 페이지에 광고 노출
2️⃣ 디스플레이 네트워크
- 앱 광고 지면 ) 애드몹에 가입하여 광고 수익화를 하는 앱 지면
- 웹 광고 지면 ) 애드센스에 가입하여 광고 수익화를 하는 웹 지면
3️⃣ 동영상 네트워크
- 시청할 때만 광고가 노출되지 않고, 추천 지면 또는 유튜브 홈피드 지면 에도 다양하게 노출
이런 방대한 네트워크를 통해 구글 앱 캠페인은 무엇을 하려는 걸까?
- 머신러닝을 통해 내 앱에 맞는 전환 유저를 찾아가는 것이 목표야
- 기설치자 사용자와 유사한 사용자를 찾아낼 수 있게 자동 타겟팅도 하고,
- 유저 특성을 분석하여 다양한 유저 유형과 유저 가치에 맞게 광고를 노출해
머신러닝은 단계별로 어떤 목표를 취할까?
위 단계에서 [설치 ~ ROAS] 까지는 모두 신규 사용자 모객으로 동일한 목표를 띄고 있어
다만, 신규 사용자를 찾아올 때 기준이 되는 행동이 [설치]일 지, [인앱 액션]일 지 [특정 ROAS] 이상일 지를 정하는 게 '목표 설정' 인 것이지
마케터 필수 준비 사항
인앱 액션 추적
비즈니스의 연속성 관점에서 봤을 때, 그 이후의 행동들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해
유저가 앱 내에서 주요 액션들을 얼마나 취하고 있는지 파악하고 앱 캠페인에 전달될 수 있어야 해!
- 구글 콘솔
- 다운로드 및 구글플레이 인앱 결제만 확인 가능
- 3P Tracking Tool
- 앱스플라이어나 애드저스트와 같은 서드파티툴로 유저 데이터를 추적해 올 수 있음
- Firebase SDK
- 구글 무료 트래킹 도구, 첫 실행부터 인앱 구매까지 트래킹 가능
어떤 액션들을 추적해야 할 지 모르겠다면? 앱 내 유저 행동을 그대로 따라가자
설치 / 첫 실행 / 회원가입 / 즐겨찾기 등
인앱 액션들이 앱 캠페인으로 넘어온 이후 해야 할 행동
👀 설치 정의하기
- 구글에서 다운로드 액션의 정의 두 가지 ① 구글 플레이 다운로드 ② First Open
- First Open 전환 설정 전환 포함 설정 <예>로 설정/ 구글 플레이 다운로드는 <아니오> 설정
- 왜? 설치 유저 중에서 앱을 실행하지 않고 삭제하는 유저의 비율이 평균 2~30% 거든 ㅜ
- ‘전환에 포함’ 이란?
- 설치라고 인지할 액션이 무엇인지 결정을 해주는 행위를 말해
- 그렇기 때문에, 다른 인앱액션들은 ‘전환에 포함’ 여부는 상관없는거야 !
이러한 액션들, 어떻게 가져오지?
- 구글 애즈 > 전환 설정 메뉴 > 전환 추가 하기
- 앞서 설명한 연결 방법 3가지 중 하나를 선택하여 연동하면 돼
- Firebase는 구글 애널리틱스4라고 불리니 헷갈리지 말자
👀 결제 설정
- 캠페인 런칭 최소 일주일 전에는 반드시 설정하는 것을 권장해
- 아래 세 가지 방법 중 원하는 결제 방식을 선택할 수 있어
1️⃣ 수동
- 크레딧을 먼저 충전하는 방식
- 초기 7일 이상의 예산을 미리 충전할 것을 권장
- 크레딧 결제 시, 금액 확인 및 반영까지 최대 48시간 소요
2️⃣ 자동
- 해외 결제가 가능한 신용카드 등록
- 신용한도 사전 확인
- 신용 한도 제한으로 캠페인 중단되는 경우 발생
3️⃣ 인보이스
- 인보이스 등록 후 계정 예산 등록 여부 확인
👀 캠페인 설정하기
1️⃣ 입찰가 설정
입찰가를 선정할 때 고려해야 하는 기준을 말해!
- 목표 전환 단가를 입찰가로 설정하되 벤치마크 대비 20% 높게 설정하는 것을 권장해
- 입찰가 설정은 <구글 앱캠페인이 학습을 할 수 있는 범위를 지정>한다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쉬워 !
- 단가를 낮게 설정하면, 저가치 유저에게 노출될 수 있어
- 이렇게 되면 초기 단가는 낮을 수 있지만, 점차 상승하며 리텐션율도 하향세를 띄게 돼
🤔 예산은 얼만큼 설정해야 할까?
- 구글의 머신러닝은 하루에 쌓이는 목표 데이터가 풍부해야 학습 최적화가 이루어져!
- 그렇기 때문에, 일 예산은 목표 단가보다 몇 배로 높게 설정할 필요가 있어
- 캠페인 학습을 위해 필요한 일별 최소 유저수 확보가 목적이라고 생각해줘
2️⃣ 소재 세팅
- 소재는 다양성 이 핵심이야!
- 텍스트/이미지/비디오 유형이 모두 추가된 캠페인과 이 중 한가지라도 빠진 캠페인 간의
평균 전환 당 단가 차이가 30%까지 난 적도 있으니 소재의 다양성에 신경써줘!
3️⃣ 최적화 시간
- 세팅 후 머신이 학습하기 위해 필요한 시간을 최적화 시간이라고 해
- 최적화 시간을 위해 캠페인 라이브 후 최소 7일 정도는 설정 변경없이 운영할 것을 권장하고 있어
- 대부분 구글 앱 설치 캠페인의 최적화 시간은 평균 3~5일이지만,
넉넉히 잡아 최소 일주일은 변경하지 않기를 권장하더라구 ~
728x90
반응형
'공부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퍼포마의 구글 광고] AC Install (Advanced) 캠페인이란? (0) | 2024.08.27 |
---|---|
[퍼포마의 구글 광고] AC 액션 캠페인 기초 개념 (AC Action Campaign) (0) | 2024.08.27 |
[퍼포마의 구글 광고] 디멘드젠(Demand Gen) 상품이란 무엇일까? (1) | 2024.08.26 |
[퍼포마의 구글 광고] VAC (Video Action Campaign)란 무엇일까? (0) | 2024.08.13 |
[구글애즈 Google Ads] VRC (Video Reach Campaign)는 무엇일까? (0) | 2024.08.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