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장 단계 맞춤 캠페인 : Action Campaign
- 정해진 액션당 단가와 예산에 맞춰서 목표하는 인앱 액션을 취할 유저를 찾을 수 있는 앱 캠페인 솔루션이야
- 설치 캠페인과 다르게 특정 인앱액션을 기반으로 광고 캠페인을 최적화할 수 있고,
- 인앱 액션의 예측성 측면에서 광고주 더 큰 컨트롤을 가지고 갈 수 있어
- 특정 액션을 취한 신규 유저를 모객하는 데에도 적합하다는 점 !
- 새로운 유저들이 유입되지만, 일반 설치 캠페인 모객 유저랑 성향이 다를 수 있음
- 설치 목적의 캠페인이 아니기 때문에, 설치 볼륨이 다소 적을 수 있다는 점 알아줘 !
어떤 광고주에게 적합할까?

- 인앱 추적을 이미 하고 있는 광고주
- 특정 액션을 기반으로 최적화 하기 때문에 인앱 액션 추적을 하고 있어야 함
- 단순 설치가 아닌 인앱 액션의 tCPA 목표나 ROAS 적인 목표가 뚜렷한 광고주
- 액션 캠페인을 설치 캠페인과 CPI 비교를 하는 것은 옳지 않음
- 원하는 인앱액션이 일 10회 이상 발생할 경우
- 기본적으로 머신러닝 기반 집행, 데이터의 양이 최적화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됨
- 원하는 인앱액션의 단가의 최소 10배 이상의 일예산 설정이 가능할 경우
- 데이터를 풍부하게 공급하여서 머신러닝을 최적화하기 위해서는
3번과 같은 액션이 일 10회 이상 발생할 환경을 만들어줘야 함 - Ex. 단가 5만원일 경우, 일예산은 50만원으로 설정 권장
- 데이터를 풍부하게 공급하여서 머신러닝을 최적화하기 위해서는
액션 캠페인 운영 프로세스
인앱 데이터 추적
인앱 데이터는 아래 두 가지 방법으로 추적이 가능해. 다만, 한 가지만 선택하여 운영하기 보단,
두 가지 방법을 모두 사용하는 것이 더욱 원활한 데이터 추적에 도움이 될 수 있어!
- 방법 1 ) Firebase
- 더욱 표준화된 데이터를 머신 러닝 알고리즘에 활용하여 퍼포먼스를 개선할 수 있음
- 방법 2 ) 서드파티 툴
- 두 설치 액션 이벤트 추적 가능
- 서드파티 툴 사용 중이라도, Firebase 추가 활용 권장
- 파이어베이스로 최적화 하고, 서드파티 툴로 매체별 퍼포먼스 확인 권장
인앱 데이터 추적 시 설정해야 하는 것, 전환 횟수 설정

- 1회로 설정할 경우
- First Open / 회원가입과 같은 고객 당 한번만 이뤄지는 이벤트
- 매회로 설정할 경우
- 구매와 같은 여러 번 발생하는 이벤트(고객 당 한번만 구매하는 건 아니니까! )
- 적정 액션 찾기
- 목표 액션을 선택하기 전 질문사항
- 일 10회 이상 발생하는 액션인가?
- 해당 액션이 ‘설치 액션’과 유의미하게 구분되는 액션인가?
- 설치 이후 회원가입 전환율이 90%인 경우, 액션 캠페인으로 큰 메리트있는 액션이 아님
- 우리 비즈니스에 유의미한 액션인가?
- 목표 액션을 선택하기 전 질문사항

액션 캠페인의 Best Practice
1️⃣ 인앱 액션 추적
- 유저의 설치 후 인앱 액션 추적을 통해 알맞는 액션 선택하기
- 하루 10회 이상 액션이어야 하며, 월 300회 이상 발생해야 원활한 머신러닝에 도움이 됨
2️⃣ 단가
- 원하는 액션의 단가 설정을 예상 단가 대비 20~30% 높게 설정
- 만약 단가 변경할 경우, 20%미만에서 변경을 권장해
3️⃣ 예산
- 최소 예산은 목표 단가 대비 최소 10배 ~ 50배 이상 설정
4️⃣ 광고 소재
- 모든 유형의 소재를 최소 각 1개 이상 등록하여 최대한의 인벤토리에 게재되도록 설정
728x90
반응형
'공부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퍼포마의 구글 광고] AC for Video 캠페인이란? (0) | 2024.08.27 |
---|---|
[퍼포마의 구글 광고] AC Install (Advanced) 캠페인이란? (0) | 2024.08.27 |
[퍼포마의 구글 광고] 구글 AC 앱 캠페인 기본 알기 (5) | 2024.08.26 |
[퍼포마의 구글 광고] 디멘드젠(Demand Gen) 상품이란 무엇일까? (1) | 2024.08.26 |
[퍼포마의 구글 광고] VAC (Video Action Campaign)란 무엇일까? (0) | 2024.08.13 |
성장 단계 맞춤 캠페인 : Action Campaign
- 정해진 액션당 단가와 예산에 맞춰서 목표하는 인앱 액션을 취할 유저를 찾을 수 있는 앱 캠페인 솔루션이야
- 설치 캠페인과 다르게 특정 인앱액션을 기반으로 광고 캠페인을 최적화할 수 있고,
- 인앱 액션의 예측성 측면에서 광고주 더 큰 컨트롤을 가지고 갈 수 있어
- 특정 액션을 취한 신규 유저를 모객하는 데에도 적합하다는 점 !
- 새로운 유저들이 유입되지만, 일반 설치 캠페인 모객 유저랑 성향이 다를 수 있음
- 설치 목적의 캠페인이 아니기 때문에, 설치 볼륨이 다소 적을 수 있다는 점 알아줘 !
어떤 광고주에게 적합할까?

- 인앱 추적을 이미 하고 있는 광고주
- 특정 액션을 기반으로 최적화 하기 때문에 인앱 액션 추적을 하고 있어야 함
- 단순 설치가 아닌 인앱 액션의 tCPA 목표나 ROAS 적인 목표가 뚜렷한 광고주
- 액션 캠페인을 설치 캠페인과 CPI 비교를 하는 것은 옳지 않음
- 원하는 인앱액션이 일 10회 이상 발생할 경우
- 기본적으로 머신러닝 기반 집행, 데이터의 양이 최적화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됨
- 원하는 인앱액션의 단가의 최소 10배 이상의 일예산 설정이 가능할 경우
- 데이터를 풍부하게 공급하여서 머신러닝을 최적화하기 위해서는
3번과 같은 액션이 일 10회 이상 발생할 환경을 만들어줘야 함 - Ex. 단가 5만원일 경우, 일예산은 50만원으로 설정 권장
- 데이터를 풍부하게 공급하여서 머신러닝을 최적화하기 위해서는
액션 캠페인 운영 프로세스
인앱 데이터 추적
인앱 데이터는 아래 두 가지 방법으로 추적이 가능해. 다만, 한 가지만 선택하여 운영하기 보단,
두 가지 방법을 모두 사용하는 것이 더욱 원활한 데이터 추적에 도움이 될 수 있어!
- 방법 1 ) Firebase
- 더욱 표준화된 데이터를 머신 러닝 알고리즘에 활용하여 퍼포먼스를 개선할 수 있음
- 방법 2 ) 서드파티 툴
- 두 설치 액션 이벤트 추적 가능
- 서드파티 툴 사용 중이라도, Firebase 추가 활용 권장
- 파이어베이스로 최적화 하고, 서드파티 툴로 매체별 퍼포먼스 확인 권장
인앱 데이터 추적 시 설정해야 하는 것, 전환 횟수 설정

- 1회로 설정할 경우
- First Open / 회원가입과 같은 고객 당 한번만 이뤄지는 이벤트
- 매회로 설정할 경우
- 구매와 같은 여러 번 발생하는 이벤트(고객 당 한번만 구매하는 건 아니니까! )
- 적정 액션 찾기
- 목표 액션을 선택하기 전 질문사항
- 일 10회 이상 발생하는 액션인가?
- 해당 액션이 ‘설치 액션’과 유의미하게 구분되는 액션인가?
- 설치 이후 회원가입 전환율이 90%인 경우, 액션 캠페인으로 큰 메리트있는 액션이 아님
- 우리 비즈니스에 유의미한 액션인가?
- 목표 액션을 선택하기 전 질문사항

액션 캠페인의 Best Practice
1️⃣ 인앱 액션 추적
- 유저의 설치 후 인앱 액션 추적을 통해 알맞는 액션 선택하기
- 하루 10회 이상 액션이어야 하며, 월 300회 이상 발생해야 원활한 머신러닝에 도움이 됨
2️⃣ 단가
- 원하는 액션의 단가 설정을 예상 단가 대비 20~30% 높게 설정
- 만약 단가 변경할 경우, 20%미만에서 변경을 권장해
3️⃣ 예산
- 최소 예산은 목표 단가 대비 최소 10배 ~ 50배 이상 설정
4️⃣ 광고 소재
- 모든 유형의 소재를 최소 각 1개 이상 등록하여 최대한의 인벤토리에 게재되도록 설정
728x90
반응형
'공부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퍼포마의 구글 광고] AC for Video 캠페인이란? (0) | 2024.08.27 |
---|---|
[퍼포마의 구글 광고] AC Install (Advanced) 캠페인이란? (0) | 2024.08.27 |
[퍼포마의 구글 광고] 구글 AC 앱 캠페인 기본 알기 (5) | 2024.08.26 |
[퍼포마의 구글 광고] 디멘드젠(Demand Gen) 상품이란 무엇일까? (1) | 2024.08.26 |
[퍼포마의 구글 광고] VAC (Video Action Campaign)란 무엇일까? (0) | 2024.08.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