런칭과 성장단계에 적합한 캠페인 : Install / Install Advanced
인스톨 캠페인 (Install Campaign) 이란?
- 타겟 설치당 단가와 예산에 맞춰 앱의 신규 사용자 수를 최대로 높일 수 있는 앱 캠페인 솔루션
인스톨 어드밴스드 ( Install Advanced ) 란?
- 설치 수량에 중점을 두지만, 특정 액션을 수행할 가능성이 높은 유저를 타겟팅하는 솔루션
- 즉, 인스톨 캠페인과 액션 캠페인의 중간 성격이라고 할 수 있지
AC Install, 어떤 광고주에게 적합할까요?
1️⃣ 타겟 설치당 비용으로 설치 수 극대화를 목표로 하는 광고주
- 특정 액션을 수행할 가능성이 높은 유저를 타겟팅하고 싶다면? → '인스톨 어드밴스드'를 추천해 !
2️⃣ First Open 및 주요 이벤트 트래킹을 할 수 있는 광고주
- 안드로이드 앱에 한정하면 특별한 이벤트 트래킹 없이도 플레이스토어 연동에 설치 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
- 설치보다 [First Open] 기준으로 운영하는데, 그 이유는 앱 설치 후 열어보지 않는 유저로부터
발생하는비용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서야 - 다른 이벤트들도 트래킹한다면, 다양한 이벤트를 수집 분석할 수 있어 !
- Install ) 주요 인앱 액션 트래킹을 적극 권장
- Install Advanced ) 인앱액션 추적을 하고 있는 광고주들에게만 적합
- 액션의 시그널을 활용하기 때문 !
3️⃣ 넉넉한 단가 설정 및 타겟 단가의 최소 50배 이상의 일예산 설정이 가능할 경우
- 예산은 캠페인 최적화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 참고해줘 !
설치 캠페인 운영 방법
✅ 주요 이벤트 트래킹
- 주요 이벤트 트래킹이 필요한 이유
- 이벤트 트래킹 없이도 추적이 가능하지만, 단순히 설치 뿐만 아니라 광고를 통해 설치한 유저가
앱을 얼마나 많이 사용하고, 앱 내에 들어와 어떤 행동을 취했는지 확인하는 작업이기 때문에 추적 필요
- 이벤트 트래킹 없이도 추적이 가능하지만, 단순히 설치 뿐만 아니라 광고를 통해 설치한 유저가
- ‘First Open(앱 오픈)’을 기준으로 운영 권장
- [앱 설치 후 앱을 열지 않는 유저]로부터 발생하는 비용 손실을 줄일 수 있음
- Firebase 사용
- 서드파티 툴을 사용하고 있더라도, Firebase를 함께 사용할 것을 권장하는데,
- 더욱 표준화된 데이터를 머신 러닝 알고리즘에 활용하여 쉽고 빠른 캠페인 러닝에 적용하기 위함이야 !
✅ 전환 추적 설정
- 전환에 포함 설정 시, OS별 최대 1개의 설치 또는 First Open 에 대해서만 <예>로 표시
- 인스톨 캠페인의 경우 전환에 포함에 ‘예’로 설정된 값이 다운로드의 기준이 돼
- 이 전환값을 중심으로 캠페인이 최적화된다는 것 !
- First Open 값 외에는 <아니오>로 표시해주기
- 🤨 그럼 First Open 외에는 트래킹이 안되는 거 아니야?
- 머신러닝이 알아서 '자동 추적'해주니 걱정마
- 해당 트래킹 데이터는 광고 그룹 내에서 모든 전환열 통해 확인 가능해
- 🤨 그럼 First Open 외에는 트래킹이 안되는 거 아니야?
✅ 캠페인 목표 설정
- 인스톨 / 어드밴스드 모두 설치 수량에 중점을 두고 있어
- Install (인스톨)
- 어떤 유형의 사용자를 타겟팅하시겠습니까? → [모든 사용자]로 설정
- 앱의 신규 설치 수를 최대화할 수 있도록 입찰가를 최적화해줘 !
- Install Advanced (인스톨 어드밴스드)
- 어떤 유형의 사용자를 타겟팅하시겠습니까? → [인앱 액션을 취할 가능성이 높은 사용]로 설정
- 설치 수를 늘리고, 인앱 액션을 수행할 가능성이 큰 사용자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입찰가를 최적화해줘 !
- 🚨유의할 점
- 인스톨 캠페인 대비 타겟하는 유저 풀(user pool)이 작기 때문에, 전체 설치 수가 감소할 수 있다는 점!
- 조금 얕은 퍼널의 액션 중 빈번히 발생하는 이벤트를 목표 전환으로 설정하는 것을 권장해
✅ 적정 단가 및 예산
다양한 지면에 광고가 노출되기 위해서는 충분한 예산 필요하다는 사실..!
- 앱이 해당하는 카테고리의 벤치마크 단가 최고치보다 10~20% 높은 수준으로 설정하는 것이 좋아
- 어드밴스드 조금 더 높은 가치의 설치를 유도하는 만큼 추가적으로 20% 높은 수준으로 설정하는 것을 추천해
- 입찰 단가가 머신이 데이터를 수집할 범위를 정해준다고 하면,
- 타겟 예산은 머신이 수집할 수 있는 최대 전환 양을 정해
- 설치 캠페인의 경우, 일 50건 이상 설치가 발생해야 캠페인이 원활하게 학습 가능하다고 해
- 예산은 타겟 당 50배 이상 (100배 이상 권장)
- 설치 캠페인의 경우, 일 50건 이상 설치가 발생해야 캠페인이 원활하게 학습 가능하다고 해
✅ 광고 소재
단가와 예산이 높아도 서빙될 광고 소재가 다양하지 않으면 소용없어 !!
텍스트 / 이미지 / 동영상 으로 다양한 소재를 꽉꽉 넣어줘 ~
캠페인 학습 최적화
3~5일 동안 설정 변경없이 운영하기
- 학습 정보가 충분하지 않은 상태에서 다양한 입찰가로 여러 지면을 테스트하는 과정이라
효율이 낮게 나올 수 있으나 충분한 데이터를 학습할 때까지 인내심을 가져보자
Best Practice
이 세가지만 기억해줘 !
- First Open 기준 최적화
- 캠페인 초반부터 공격적으로 단가를 높게 설정
- 충분한 볼륨확보를 위한 목표 설치 단가(tCPI) 대비 50~100배 이상의 예산 설정
728x90
반응형
'공부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앱의 구매를 유도하는 방법 <구글 tROAS 캠페인> | 감자노움의 구글 광고 (0) | 2024.08.30 |
---|---|
[퍼포마의 구글 광고] AC for Video 캠페인이란? (0) | 2024.08.27 |
[퍼포마의 구글 광고] AC 액션 캠페인 기초 개념 (AC Action Campaign) (0) | 2024.08.27 |
[퍼포마의 구글 광고] 구글 AC 앱 캠페인 기본 알기 (5) | 2024.08.26 |
[퍼포마의 구글 광고] 디멘드젠(Demand Gen) 상품이란 무엇일까? (1) | 2024.08.26 |